포항 북송리 북천수 浦項 北松里 北川藪 천연기념물 포항 북송리 북천수는 흥해읍 곡강천 남쪽 제방을 따라 길게 조성된 소나무 숲이다. 길이가 1.87km에 이르며 우리나라 숲 가운데 3번째로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8년에는 2.4km였던 것으로 조사된 바 있어 지금보다 더 큰 규모였음을 알 수 있다. 북송리라는 이름은 1914년에 행정구역을 통폐합할 때 이 숲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라고 한다. 북천수 주변은 넓게 펼쳐진 곡창지대로서, 예로부터 민중들이 농사를 지으며 불렀던 ‘흥해 농요*’의 전승 배경이 되었다. 『한국지명총람』에는 조선 철종(1849-1863 재위) 때 흥해 군수 이득강이 남쪽 도음산의 맥을 보호하고 북쪽 북천(현재의 곡강천) 일대의 수해를 예방하고자 4리(1,571m)에 걸쳐서 숲을 조성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1872년에 제작된 「흥해군지도」에는 북천수가 있는 곳에 솔잎과 줄기가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어, 당시 사람들이 북천수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과거에 비해 규모가 많이 축소되기는 하였으나, 광복 이후 소나무를 새로 심고 후계목**을 육성하면서 꾸준히 숲을 회복하고 있다. * 흥해 농요: 흥해 지역의 농민들이 농사일을 하면서 피로를 잊고 능률을 올리기 위해 불렀던 전통 노래 ** 후계목: 천연기념물인 수목을 증식하여 유전형질을 그대로 간직하도록 한 것으로, 기후 변화나 천재지변 등으로 천연기념물인 수목이 멸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육성함
포항 북송리 북천수는 포항시 흥해읍 북송리의 2.5㎞ 북천변을 따라 길게 선형으로 조성된 송림으로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흥해현지도」에도 북천수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한국지명총람」에 북천수 조성유래에 대한 기록과 「조선의 임수」에 1938년 조사 기록이 남아 있는 등 예로부터 매우 유명한 숲이며, 현재에도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숲 중 3번째로 긴 숲으로 알려져 있다.
순조 2년(1802) 1월 9일 「일성록」에 의하면 북천수는 순조 2년에 흥해군수로 임명된 이득강이 재임기간(1802~1804) 중 북천에 둑이 없어 장마만 지면 수해가 나는 것을 보고 군민을 동원하여 북천 제방을 쌓고 4리에 뻗친 북천수를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숲으로 역사적 유래가 깊은 숲이다.
포항 북송리 북천수는 정월보름날 숲의 제당에서 동제를 지내고 이날 오후 3시 마을 앞산에서 산제를 지내며 전년도에 묻어둔 간수(소금물) 병에 담긴 간수의 상태를 보고 그 해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풍습이 있는 등 오랜 기간 마을 주민들의 신앙적 대상이 되어 온 숲으로 문화·역사적 가치가 매우 큰 마을 숲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포항 북송리 북천수 浦項 北松里 北川藪 천연기념물 포항 북송리 북천수는 흥해읍 곡강천 남쪽 제방을 따라 길게 조성된 소나무 숲이다. 길이가 1.87km에 이르며 우리나라 숲 가운데 3번째로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8년에는 2.4km였던 것으로 조사된 바 있어 지금보다 더 큰 규모였음을 알 수 있다. 북송리라는 이름은 1914년에 행정구역을 통폐합할 때 이 숲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라고 한다. 북천수 주변은 넓게 펼쳐진 곡창지대로서, 예로부터 민중들이 농사를 지으며 불렀던 ‘흥해 농요*’의 전승 배경이 되었다. 『한국지명총람』에는 조선 철종(1849-1863 재위) 때 흥해 군수 이득강이 남쪽 도음산의 맥을 보호하고 북쪽 북천(현재의 곡강천) 일대의 수해를 예방하고자 4리(1,571m)에 걸쳐서 숲을 조성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1872년에 제작된 「흥해군지도」에는 북천수가 있는 곳에 솔잎과 줄기가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어, 당시 사람들이 북천수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과거에 비해 규모가 많이 축소되기는 하였으나, 광복 이후 소나무를 새로 심고 후계목**을 육성하면서 꾸준히 숲을 회복하고 있다. * 흥해 농요: 흥해 지역의 농민들이 농사일을 하면서 피로를 잊고 능률을 올리기 위해 불렀던 전통 노래 ** 후계목: 천연기념물인 수목을 증식하여 유전형질을 그대로 간직하도록 한 것으로, 기후 변화나 천재지변 등으로 천연기념물인 수목이 멸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육성함
포항 북송리 북천수는 포항시 흥해읍 북송리의 2.5㎞ 북천변을 따라 길게 선형으로 조성된 송림으로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흥해현지도」에도 북천수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한국지명총람」에 북천수 조성유래에 대한 기록과 「조선의 임수」에 1938년 조사 기록이 남아 있는 등 예로부터 매우 유명한 숲이며, 현재에도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숲 중 3번째로 긴 숲으로 알려져 있다.
순조 2년(1802) 1월 9일 「일성록」에 의하면 북천수는 순조 2년에 흥해군수로 임명된 이득강이 재임기간(1802~1804) 중 북천에 둑이 없어 장마만 지면 수해가 나는 것을 보고 군민을 동원하여 북천 제방을 쌓고 4리에 뻗친 북천수를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숲으로 역사적 유래가 깊은 숲이다.
포항 북송리 북천수는 정월보름날 숲의 제당에서 동제를 지내고 이날 오후 3시 마을 앞산에서 산제를 지내며 전년도에 묻어둔 간수(소금물) 병에 담긴 간수의 상태를 보고 그 해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풍습이 있는 등 오랜 기간 마을 주민들의 신앙적 대상이 되어 온 숲으로 문화·역사적 가치가 매우 큰 마을 숲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Bukcheonsu is a pine forest that stretches 2.5km along the Bukcheon Stream in Buksong-ri, Heunghae-eup, Pohang. The forest has been famous from the past and is mentioned in many old records. The name is mentioned in the Heunghaehyeon jido (map of Heunghaehyeon) owned by Kyujanggak, a record of how the forest was created in Hangukjimyeong chongnam (encyclopedia of geographical names of Korea), and a survey of the forest from 1938 in Joseonui imsu (report on forests of Korea). Today, it is the third-longest forest in Korea. Based on the record in Hangukjimyeong chongnam, the forest appears to have been created to prevent the flooding of Heunghae-eup and as windbreak: “Seeking to protect the town fortress and Doeumsan Mountain, the guardian mountain of Heunghae, and seeing that flooding occurred every summer because there were no banks along the stream, Yi Deuk-gang, magistrate of Heunghae-gun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of Joseon, mobilized the local residents to build banks along Bukcheon Stream and plant a forest stretching for 4 ri (10km).” Moreover, it is a historically important forest as it is presumed to have been planted to create the ideal environment in terms of geomancy, with the forest in front and the mountain to the back. The forest also has great cultural value for its role in the practice of indigenous faiths. On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the villagers would hold a rite for the tutelary gods at an altar in the forest, with another rite for the mountain in front of the village held at 3 p.m. on the same day. As part of the rite, the fortune for the coming year would be told by inspecting the state of saltwater that had been kept buried in a bottle the year before. Therefore, Bukcheonsu Grove in Buksong-ri has been preserved well by the villagers for a long time.
浦项北松里北川籔是沿浦项市兴海邑北松里2.5㎞的北川边形成的长长的扇形松林。奎章阁收藏的《兴海县地图》中有关于北川籔的记录。《我国地名总览》中有关于北川籔形成由来的记录,《朝鲜的林藪》中有1938年的调查记录,自古闻名,至今仍为我国现存树林中长度排名第三的树林。每年正月十五都会在树林的祭堂内举行洞祭,当日下午三时还在村庄的前山举行山祭,查看去年埋藏在地下的瓶内盐水状态,以此占卜当年吉凶祸福。该树木长期以来是村民们的信仰对象,具有很高的文化、历史价值。
浦項北松里の北川藪は、浦項市興海邑北松里の北川に沿って2.5㎞にわたって線形に造成された松林である。奎章閣に所蔵されている「興海県地図」にも北川藪に関する記録があり、『韓国地名総覧』にも北川藪造成の由来に関する記録があり、『朝鮮の林藪』にも1938年の調査記録が残されているなど、昔から有名な林で、現在においても韓国に残っている林のうち3番目に長い林として知られている。また、小正月になると林の祭堂で洞祭を行い、この日の午後3時には村の前方にある山で山祭を行い、前年に埋めておいた、にがり(塩水)瓶に入っているにがりの状態を見て、その年の吉凶禍福を占う風習があるなど、長い間村の住民たちにとって信仰的な対象となった林で、文化・歴史的な価値が大きい村の林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