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설명 누비는 옷감의 보강과 보온을 위해 옷감의 겉감과 안감사이에 솜, 털, 닥종이 등을 넣거나 또는 아무것도 넣지 않고 안팎을 줄지어 규칙적으로 홈질하여 맞붙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우리나라의 누비는 면화재배 이후 적극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며 조선시대의 다양한 실물자료들이 전해지고 있다. 승려들이 일상복으로 입는 납의(衲衣)는 헤진 옷을 수십 년 동안 기워 입은 것에서 유래하였으며, 이는 점차 누비기법으로 발전하여 방한과 내구성, 실용성 등이 뛰어나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누비는 누비 간격이나 바느질 땀수에 따라 세누비·잔누비·중누비 등으로 나뉘며, 형태에 따라 오목누비·볼록누비·납작누비로 크게 구분된다. 누비 간격은 잔누비 0.3㎝, 세누비 0.5㎝, 중누비 1.0㎝ 이상으로 구분된다. 세누비·잔누비 중에서도 옷감 2겹만을 누벼주어 겉모양이 오목오목하면 오목누비라 하고, 솜을 여유있게 두고 누벼주어 겉모양이 볼록한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면 볼록누비라 한다. 또 얇은 솜을 두거나 닥종이를 이용하기도 하고 옷감만으로 누벼주어 평면적이면 납작누비라 구분하였다. 누비용구로는 옷감재질과 동일한 실, 누비 두께에 따른 다양한 바늘 종류, 가위, 인두, 밀대, 자, 골무 등이 있다. 누비 바느질 기법은 홈질이 대부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박음질도 사용된다. 의복이나 침구류에는 규칙적인 직선누비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주머니나 보자기류에는 누비 자체를 문양으로 살려 곡선과 직선으로 조화를 이룬 것도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손누비는 세계 유일한 재봉법으로 그 정교함과 작품성이 자수를 능가하는 예술품으로 평가받기에 충분하나, 지금에 와서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사라져가고 있다.
Nubi is a method of sewing in order to put cotton, fur or mulberry paper between the outer fabric and the lining of cloth, or of broad stitching without putting anything between the outer fabric and lining to strengthen the cloth or to make it warmer. Nubijang refers to this skill or to an artisan with such a skill. The method became a common practic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cotton growing. Some monks wore the same robe for tens of years, repairing it with this method. Nubi techniques developed to a point where even ordinary people came to adopt them.
Among the things needed for the work of nubi are thread that matches as closely as possible that used on the clothes or bedding, needles, scissors, a heating iron, a push stick, a measuring stick, and a thimble. Regular straight lines are chiefly used for the nubi work on clothes or bedding, but a mixture of straight and curved lines are also used to make a pattern when working on wrapping cloth or pouches.
The country’s traditional manual nubi sewing is said to be an artwork similar to embroidery, but it is gradually disappearing, as the work takes time and does not bring much economic benefit.
缝棉是指为了补充衣料与保温,在衣料内外两层之间塞入棉、毛、韩纸等,或不塞入任何东西,有规则地将两片布料反复缝制的方法。我国的缝棉在种植棉花以后逐渐活跃起来,至今还流传有很多朝鲜时代的实物资料。僧侣的日常服装-衲衣源于数十年缝补旧衣,后来逐渐发展成缝棉技法。也供普通百姓用于防寒,具有耐穿、实用等特点。我国的传统手工缝棉是世界唯一的裁缝法,其精巧性与作品性是已超越了刺绣的艺术品,但如今已因耗时较多以及商品性不高等原因逐渐退出历史舞台。现在缝棉匠已被指定为重要的无形文化财,现由技能保有者金海子传承。
差縫とは、生地の補強と保温のために布の表と裏の間に綿・毛・コウゾで作った紙などを入れたり、または何も入れないで内外を規則的に繰り返して縫い付けた裁縫法である。韓国の差縫は木綿栽培以降、積極的に活性化され、朝鮮時代の様々な実物資料が伝わっている。僧侶たちが日常服として着る衲衣は破れた服を数十年間繕って着たことから由来し、これは次第に差縫の技法へと発展して一般人の間においても防寒・耐久性・実用性などの目的で利用されたと言われている。韓国における伝統的な手差縫は世界で唯一の裁縫法で、その精巧さと作品性は刺繍を凌駕する芸術品として評価されるに値するが、現在のところ時間がかかり過ぎるし、商品性が低いためなくなりつつある。そのため、差縫匠を重要無形文化財に指定し、金海子氏を技能保持者に認定して伝承している。